주식 관련 유튜브를 보다보면, ‘이평선이 정배열이다’, ‘이평선이 역배열이다’, ‘골크 났다’ 등등 이 말들은 모두 이동평균선에 대한 얘기이다. 오늘은 주식차트를 분석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이동평균선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 한다.
이동평균선 (Moving Average) 이란?
이동평균선 이란 특정 기간 동안의 주가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연결한 선이다.
5일 이동평균선 (5MA)은 5일간의 종가의 합을 5로 나눈 값, 즉 5일간의 종가 평균을 연결한 선이고, 20일 이동평균선(20MA)는 20일간의 종가 평균값을 연결한 선이다.
이 이동평균선 은 주가의 추세를 보거나, 직접 매매에 사용하기도 한다.
이동평균선 (Moving Average)의 종류
- SMA (Simple Moving Average) – 특정 기간 동안의 가격의 합을 기간 수로 나눈 값
- EMA (Exponential Moving Average) – 최근 가격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한 값
SMA 는 장기추세를 파악하는데 용이하고, EMA는 단기 변동성에 민첩하게 움직여서, 단기 매매에 주로 사용된다고 알고 있으면 된다.
이동평균선 셋팅하기 (토스증권)
토스증권 차트 화면에서 톱니바퀴 선택 -> 보조지표에서 이동평균 선택 -> 설정에서 기간변경 -> 저장하기
이동평균선 활용하기
이동평균선 정배열&역배열
정배열은 이동평균선 5일선이 가장 위에 있고, 20일선, 60일선, 120일선이 순서되로 배열된 상태를 말하며, 주가가 상승추세에 있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역배열은 이동평균선 이 정배열과 반대로 배열된 상태를 말하며, 하락추세에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평균선 골든 크로스 & 데드크로스
하락추세가 진행중인 차트에서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여, 추세가 반전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골든크로스라고 한다. 반대로 상승추세가 진행중인 차트에서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서능ㄹ 하향 돌파하여, 추세가 반전되는 경우는 데드 크로스라고 한다. 아래는 골든 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활용한 매매의 예시이다.
마치며
오늘은 이동평균선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리가 지표를 알아야하는 이유는 확률이 높은 매매를 하기 위해서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RSI 지표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다.